기억공간 소개
text
단원고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단원로 55

text
4.16기억교실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34

text
4.16기억저장소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34

text
4.16생명안전공원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259

text
목포 신항 세월호

전라남도 목포시 신항로294번길 45

text
팽목기억관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연동리 1491

text
세월호 기억공간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5

text
제주기억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명림로 300

단원고

Danwon High School

2014년 4월 수학여행을 떠났던 단원고등학교 2학년 250명, 선생님 11명은 학교로 돌아오지 못하였습니다.
교실에는 아이들과 선생님을 그리워하며 추모하는 마음의 편지와 메모 등이 쌓였고 학생들이 공부했던 교실은 돌아오지 못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기억하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2016년 교실을 그대로 남겨달라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커졌고 경기도교육청,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등 7개 기관은 협약을 통해 이전·복원하였습니다.
단원고등학교는 희생자를 기억하고 추모하며 이와 같은 참사가 또 다시 반복되지 않게 하기 위한 교훈을 주는 공간입니다.
세월호참사로 희생된 학생과 교사를 기리는 ‘노란 고래의 꿈’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개방형 추모공간입니다.

In April 2014, 250 second-year students and 11 teachers from Danwon High School departed on a school trip but never returned.
In their classrooms, letters and notes filled with remembrance and longing for the students and teachers began to accumulate. The classrooms where the students once studied became spaces dedicated to honoring and remembering those who could not return.
By 2016, public calls to preserve the classrooms as they were grew louder. In response, seven organizations, including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the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signed an agreement to relocate and restore them.
Danwon High School has become a place of remembrance and tribute to the victims, serving as a reminder to prevent such tragedies from happening again.
A memorial sculpture titled “The Dream of the Yellow Whale”, dedicated to the students and teachers lost in the Sewol Ferry Disaster, has been installed. The site is an open memorial space where anyone can come and pay their respects.



4.16기억교실

4.16 - Memorial Classroom

단원고 4.16기억교실은 2020년 단원고 학생생들이 사용했던 책상, 의자, 칠판, 게시판, 교실 문틀, 교실 문, 창틀, 창문, 천장텍스, 몰딩 등 교실 기록물을 이전하여 잊지 않고 기억하는 기억의 공간으로 4.16기억저장소 기록화 자료를 토대로 원형 그대로 복원 2021년 4월12일 개원하였습니다.
세월호참사를 기억하며 안전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살아 있는 교육 공간인 단원고 4.16기억교실은 4.16민주시민교육원 기억관 2층, 3층에 있으며 365일 개방으로 언제나 편하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4.16기억교실 자세히 보기 (단체방문-해설 예약)

The Danwon High School 4.16 Memorial Classroom was opened on April 12, 2021, after restoring the classroom to its original state using the classroom materials from the 4.16 Memorial Archive such as desks, chairs, blackboard, noticeboard, classroom door frames, classroom doors, window frames, windows, ceiling tiles, and moldings that students from Danwon high School used until 2020, and is a memorial space to not forget and remember.
The Danwon High School 4.16 Memorial Classroom, an active educational space to remembe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move toward a safe society, is located in the 2nd and 3rd floors of the 4.16 Democratic Citizens Education Center (Institute for Life and Safety Education) and opened 365 days a year to comfortably visit anytime.


4.16기억저장소

4.16 Memory Archive

세월호참사로 하늘의 밝은 별이 된 단원고등학교 학생 250명, 교사 11명, 일반인 43명의 삶의 기록과 참사로 귀한 생명을 앗아간 권력, 정부, 언론 모두를 기록으로 남기고 참사 목격자였던 국민 모두의 새로운 자각과 투쟁, 평화적인 촛불혁명 등 참사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놓치지 않고 기억하며 행동하는 비영리 민간기록관리기관입니다.
4.16기억저장소의 중심은 세월호참사로 대한민국이 생명존중의 나라, 안전한 나라로 거듭나기 위해 교육과 전시, 도서 발간 등의 활동을 합니다.

4.16기억저장소 자세히 보기

The 4.16 Memory Archive is a non-profit civil record-keeping institution dedicated to preserving the lives of the 250 students and 11 teachers from Danwon High School, as well as all other 43 civil passengers who became bright stars in the sky on April 16th 2014. It documents not only their lives but also the role of power that the government and media held in the tragedy that claimed these precious lives. Additionally, it records the awakening, struggle and peaceful resistance of the citizens who witnessed the disaster, includ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ensuring that no aspect of the tragedy is ever forgotten.
At its core, the 4.16 Memory Archive works to transform South Korea into a nation that values life and prioritizes safety by engaging in education, exhibitions and the publication of books related to the disaster.


4.16생명안전공원

(2026년 하반기 준공 예정)

The Life and Safety Park

4.16생명안전공원은 세월호참사로 희생된 아이들의 봉안함이 서열없이 원형 평면의 이형 돔 추모 공간으로 별이 된 아이들을 자연스럽게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간을 넘어 시민들이 가족 또는 친구들과 편안하게 찾아올 수 있는 일상적인 공간입니다.
사계절 변화하는 자연 속에서 편안하게 찾아오고 쉴 수 있는 휴식의 공간이자 다양한 체험과 전시가 있는 일상 속 문화공간으로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
4.16생명안전공원에서 미래세대 청소년들이 자신의 꿈을 키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해 배움과 성찰이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 기억과 생성의 공간 : 4.16의 기억과 교훈이 미래에도 지속할 수 있도록, 생명 안전과 관련된 교육과 행동의 프로그램을 담는 공간
  • 애도와 추모의 공간 : 삶과 죽음을 이분법으로 나누는 공간이 아닌 죽음을 현재의 삶과 이어서 기억하는 공간
  • 질문과 연대의 공간 : 사회적 참사와 재난에 대해 질문하고, 피해자와 시민이 만나 소통하며 연대하는 공간
  • 아이들과 함께 하는 공간 : 공원을 찾아오는 가족과 시민들이 별이된 아이들을 자연스럽게 기억하고 추모하는 공간
  • 시민들의 일상적인 휴식 공간 : 추모공간을 넘어 시민들이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편안하게 찾아올 수 있는 일상적인 공간

(Construction scheduled to begin in October 2024, expected completion in the second half of 2026)

The 4.16 Life and Safety Park is designed as a space to remember and honor the children who lost their lives in the Sewol Ferry disaster. Their urns will be placed in a circular, dome-shaped memorial area without any hierarchical order, allowing visitors to naturally remember and pay tribute to them. Beyond being a place of remembrance, the park is envisioned as a welcoming space where citizens can come with their families and friends in a relaxed, everyday setting.
Amidst the changing seasons, the park will serve as a peaceful retreat, an open space accessible to all, offer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and exhibitions. It will be a place where people can come to rest, reflect and engage in meaningful activities.
The 4.16 Life and Safety park aims to support future generations, helping young people nurture and realize their dreams while supporting education and reflection for a safer South Korea.

  • A space of memory and creation: A place where the lessons of 4.16 continue into the future, offering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ons related to life and safety
  • A space of mourning and remembrance: Not a place that divides life and death, but one that connects death to the present and keeps memories alive.
  • A space of Questioning and Solidarity: A place where people can question social disasters and tragedies, engage in dialogue and strengthen solidarity between victims and citizens.
  • A space for families and children: A place where families and visitors can naturally remember and honor the children who became stars.
  • An everyday resting space for citizens: more than just a memorial, it is a space where people can come with their families and friends to relax and spend time together in a comforting environment.



목포 신항 세월호

Mokpo New Port Sewol Ferry

2014년 4월15일 인천항을 떠난 세월호는 출항 이튿날 참사를 당해 3년은 진도 맹골수도의 40m 바닷속에서,   2017년 3월31일 참사 3년 만에 인양된 세월호 목포 신항의 차량 부두에 거치되었습니다.
2019년 변형된 선박의 구조, 두께, 하중 등을 해양수산부가 검사한 결과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이후 3년마다 안정성을 평가하기로 했습니다.
목포시는 신항에서 직선거리로 1.3km가량 떨어진 고하도를 선체 보존지로 결정했으며 2028년까지 세월호 거치 방안으로 선체 원형을 물 위에 띄우는 형태로 전시하고, 국민안전체험 공원으로 조성하여 추모·교육 등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The Sewol Ferry that left Incheon Port on April 15th 2014 and sank the following day remained 40m under the surface until three years after the disaster. On March 31st 2017, it was eventually salvaged and docked to the vehicle quay of Mokpo New Port.
In 2019, after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nspected the structure, thickness and weight of the ship, no significant issues were found and it was then decided that the stability of the ship would be assessed every three years.
The City of Mokpo has designated Gohado, located approximately 1.3 km in linear distance from the New Port, as the preservation site for the ferry’s hull. The Sewol Ferry,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is planned to be displayed floating on the water in 2028 and developed into a national Safety Experience Park for commemoration, education and other purposes.

1. 참관 개요 - Visiting overview
① 장 소 : 목포신항 북문출입구 ~포토라인(취재지원선) 선체후미 30m - Location: Mokpo New Port North Gate Entrance ~ photo line (reporting support vessel) 30m from the back of the ship
② 참관시간 : 13:00 ~ 16:30 (평일, 주말 및 공휴일) - Visiting hours: 13:00 ~ 16:30 (working days, weekends and holidays)
③ 신청방법 : 참관당일 현장신청 - Application Method: On the day of the visit at the site

※ 준비물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학생증, 청소년증 등) - Preparations: Identification card (Resident registration card, driver’s license, passport, student ID, etc.)
※ 신분증 미지참시 관람 불가 - In case you forgot to bring your ID you are not allowed to visit

2. 참관 절차 - Visiting procedure
① 목포신항 북문출입구 초소에 신분증 제시 - Present your ID at Mokpo New Port North Gate Entrance’s Guard Post
② 출입증 교부 - Entrance Pass Issuance
③ 세월호 선체 참관 - Visiting Sewol Ferry hull
④ 출입초소에 출입증과 신분증 교환 - Exchange your Entrance Pass with your ID

3. 참관 문의 - Visiting inquiry
- 해양수산부 선체관리지원과 044)200-6263 -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hip Management and Support Division
- 목포신항만 북문출입관리 061)461-3049 - Mokpo New Port North Gate Entrance Management
- 목포 현장지원사무소 061)270-1503 - Mokpo Field Support Office
- 목포시 안전총괄과 061)270-3651 - Mokpo City General Safety Division 061)270-3651



팽목기억관

Pengmok Harbor

팽목항은 세월호참사 희생자들의 유해가 수습되었던 곳이기도 하고 이후에는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이 오랜 시간 머물며 사랑하는 가족을 기다렸던 공간이기도 합니다.
세월호 추모 조형물과 ‘기다림의 등대’, ‘기억의 벽’ , ‘하늘나라 우체통’이 있습니다.
2018년 9월 팽목항 분향소에 있던 아이들 영정사진을 안산으로 옮긴 뒤에도 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이 팽목기억관을 지키고 계십니다.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는 팽목 기억 도보순례와 기억예술마당이 열리고 있습니다.

Pengmok harbor is the place where the remains of the victims were recovered. Later, it became a space where the families of the missing passengers waited for their loved ones.
At the site, several memorial installations can be found, including the Sewol Ferry Memorial Sculpture, the Lighthouse of Waiting, the Wall of Remembrance and the Heavenly Postbox.
Even after the portraits of the children, which were originally displayed at the Pengmok Harbor Memorial Altar, were moved to Ansan in September 2018, Ko Young-Hwan, the father of Woo-jae, has continued to safeguard the Pengmok Memorial Center.
On the last Saturday of each month, a memorial walking pilgrimage and a remembrance art event take place at the harbor.


세월호 기억공간

Sewol Ferry Memorial Space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약 3개월 뒤 세월호 유가족들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면서 광화문에 처음 천막을 설치했습니다.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외치며 단식농성과 촛불집회가 열렸습니다.
2019년 3월 세월호 광화문 기억공간이 지어졌고 시민들과 세월호 유가족들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이곳을 지키면서 피켓을 들었고 노란리본을 만들어 시민들과 나누었습니다.
2021년 7월 서울시의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 조성공사로 일방적으로 철거된 기억공간은 11월 서울시의회 앞마당으로 임시 조성되었습니다.
세월호 기억공간은 세월호참사로 희생된 304명의 우주를 잊지 않으려는 시민들이 참사의 목격자와 증인이 되어 슬픔과 분노를 나누는 공간입니다.
또한, 안전하고 생명이 존중받는 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마음으로 세월호참사 희생자들을 기억하는 역사적인 공간이자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의 공간입니다. 세월호참사가 이전의 다른 참사처럼 기억에서 지워지게 할 수 없기에 지켜야 하는 안전사회를 위한 공간입니다.

운영시간 : 화요일 ~ 일요일 오전11시 ~ 오후 8시 (매주 월요일 휴관)

About three month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of April 2014, the bereaved families set up a tent in Gwanghwamun for the first time, demanding the enactment of the Sewol Special Law.
They held hunger strikes and candlelight vigils, demanding a thorough investigation and accountability for those responsible.
In March 2019, the Sewol Ferry Gwanghwamun Memorial Space was built. Despite rain or snow, citizens and bereaved families stood with their protest signs, making yellow ribbons and sharing them with others to ensure the tragedy was never forgotten.
In July 2021, howev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nilaterally demolished the project as part of the Gwanghwamun Square reconstruction project. In November 2021, it was temporarily relocated to the front yard of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building.
The Sewol memorial space serves as a place where citizens, as witnesses to the disaster, come together to share their grief and anger, ensuring that the 304 lives lost in the Sewol Ferry Tragedy are never forgotten.
Furthermore, it is a historical space dedicated to remembrance and hope for a better safe and life respecting world, and an educational space for the future generations. It’s a space for a safe society that must be protected, as the Sewol Ferry Disaster cannot be erased from our collective memory like other past tragedies.
Operation time: Tuesday ~ Sunday, 11 am ~ 8pm (Closed every monday)



제주기억관

Jeju Memorial Center

(사)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가 운영 중인 세월호 제주기억관은 관광객, 도민 누구나 편안하게 찾을 수 있는 ‘대중적인 기억공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억관에 들어서면 커다란 세월호 리본 앞에서 이달 생일을 맞은 ‘단원고 학생’들이 방문객을 반깁니다. 유가족이 직접 만든 수공예품, 세월호 참사 당일 시간대별 기록, 각종 서적과 리본 트리, 조형물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The Jeju Memorial center, operated by the (corp.) “4/16 Sewol Families for Truth and A Safer Society”, aims to be a public memorial space where both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can visit and reflect in a welcoming environment.
Upon entering the center, visitors are greeted by a large Sewol Ferry ribbon and a tribute to Danwon High School students who would have been celebrating their birthdays that month.
The center displays handcrafted items made by bereaved families, a timeline of events from the day of the disaster, various books, a ribbon tree and memorial sculp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