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사건 판결
4.16세월호참사 판결 및 특수단 1차 수사결과 비평
_ 민변 서채완 변호사 작성
1. 사건 간략 개요
천만 명 시민의 염원으로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설립되었으나, 청와대 관계자들과 해양수산부 등 정부에 의해 조직적으로 방해가 이루어져, 특조위는 진상규명의 과제를 다 수행하지 못한 채 조기해산되었다. 특조위에 대한 조사방해 행위의 진상을 밝히고 그 책임을 묻고자 한 사건.
관련 사건은 두가지 재판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7년 12월, 문재인 정권의 해양수산부는 2015년 언론으로부터 제기된 '해수부 문건' 관련 정황에 대하여 자체감사를 진행했고, 특조위 조사방해가 조직적으로 이뤄진 정황을 발견했다며 이에 대해 검찰에게 수사의뢰했다. 2018년 4월 29일 수사를 종료하며 검찰은 특조위 설립 및 조사를 방해한 행위로 이병기(전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장),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 비서관), 김영석 (해수부장관), 윤학배 (해수부 차관) 총 5인을 기소한다.
그에 이어, 2019년 11월 2일 4.16연대 등은 국민고소고발인대회를 열었고, 관련 책임자 10명을 고소고발한다. 곧바로 19년 11월 11일 발족한 검찰 세월호 특수단이 관련 책임자 김영석 외 9인을 기소한다.
2. 피고인 별 직위 및 기소 죄목, 판결
순번 | 피고인명 | 직위 | 기소 죄목 | 1심 | 2심 | 3심 |
1 | 김영석 | 전 해수부 장관 |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 징역 2년 집유 3년 | 무죄 | 무죄 |
2 | 윤학배 | 전 해수부 차관 | 징역 1년 6개월, 집유 2년 | 징역 6개월, 집유 2년 | 파기환송심 > 대법 이후 형 확정 :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
3 | 이병기 | 전 청와대 비서실장 | 징역 1년, 집유 2년 | 무죄 | 무죄 |
4 | 안종범 | 전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 무죄 | 무죄 | 무죄 |
5 | 조윤선 |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 징역 1년, 집유 2년 | 무죄 | 파기환송심 > 대법 이후 형 확정 :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
|
순번 | 피고인명 | 직위 | 기소 죄목 | 1심 | 2심 | 대법원 |
1 | 이병기 | 청와대 비서실장 |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죄 | 무죄 | 무죄 | 진행중 |
2 | 현기환 | 정무수석 | 무죄 | 무죄 | 진행중
|
3 | 현정택 | 정책조정수석 | 무죄 | 무죄 | 진행중
|
4 | 안종범 | 경제수석 | 무죄 | 무죄 | 진행중
|
5 | 정진철 | 인사수석 | 무죄 | 무죄 | 진행중
|
6 | 김영석 | 해수부 장관 | 무죄 | 무죄 | 진행중
|
7 | 윤학배 | 해수부 차관 | 무죄 | 무죄 | 진행중
|
8 | 이근면 | 인사혁신처장 | 무죄 | 무죄 | 진행중
|
9 | 조대환 | 특조위 부위원장 | 무죄 | 무죄 |
3. 사건 진행 경과
사건 제기 | 사건번호 | 재판시작 | 판결일 | 최종 |
2015년 언론 '해수부 문건' 제시, 2017년 해수부 자체감사 통하여 정황 발견, 검찰 수사, 5인 기소 | 1심 서울동부지방법원 2018고합30, 75(병합) | 2018.02.21 | 2019 . 6. 25. 선고 | 2019.07.01 쌍방상소 / 2019.07.16 상소법원으로 송부 |
2심 서울고등법원 2019노1602 | 2019.07.16 | 2020. 12. 17. 선고 | 검사상소 / 2020.12.30 상소법원으로 송부 |
3심 대법원 2020도18296 | 2020.12.30 | |
|
파기환송심 서울고등법원 2023노1251 | 2023.05.03 | 2023.11.09. 선고
| 대법원으로 송부 |
대법원 |
| 2024. 4. 16. | 형 확정 1. 윤학배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2. 조윤선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 |
2019. 11. 2. 국민고소고발인단 대회 2019. 11. 11. 검찰 세월호 특수단 발족, 수사종결과 함께 9인 기소 | 1심 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고합412 | 2020.05.29 | 2023.02.01 선고 | 전원무죄 검사상소 / 2023.02.14 상소법원으로 송부
|
2심 서울고등법원 2023 노 505 | 2023. 02. 15. | 2024. 4. 23. 항소기각 | 전원무죄 / 검사 상소 / 2024.05.02 상소법원으로 송부
|
3심 대법원 2024도6385 | 2024.05.03
| 심리중 |
4. 판결요지 및 비평
1) 특조위에 대한 조사방해 행위
특조위 설립 준비 방해행위
• 조사를 방해하기 위한 문건 작성
• 특조위 파견 공무원 일괄복귀
• 특조위 활동기간 법령심의 보류 및 철회 요청
특조위 동향 및 보고를 통한 방해행위
• 바이버 단체 채팅방 개설 후 동향보고
• 일일상황보고 등 문서 작성
특조위 ‘청와대 행적조사 안건 의결’ 방해행위
• 안건의결 방해를 위한 문서 작성 지시
• 안결의결 방해를 위한 정부 여당(새누리당)의 성명서 작성 지시 및 제공
2) 법원의 판단에 대한 비평
공모관계의 인정을 협소하게 판단
• 국가기관에 의한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함
부당한 지시에 따르는 행위를 묵인, 방조하는 논거가될 수 있음
• 공무원들의 행위를 보조행위 또는 사실행위에 불과하기 때문에 의무없는 일을 한 것이 아니라 판단하였음
직권남용죄의 권리행사방해의 의미를 부당히 축소
• 직권남용의 상대방과 권리행사 방해의 상대방이 같아야한다고 판단
• 즉 공무원에게 부당한 지시를 하여 시민의 권리를 침해한 경우 직권남용죄는 성립할 수 없다는 취지
5. 관련 컨텐츠
[판결비평]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사건 판결 👉 바로가기
[성명]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사건 대법원 판결에 대한 입장 - 세월호참사 피해자는 용납하지 않는다. 법원은 세월호 특조위 조사방해 피고인 모두를 처벌하라👉 바로가기
[성명] ‘세월호 특조위 조사 방해' 박근혜 정부 인사들에 면죄부 준 재판부를 규탄한다 👉 바로가기
[공동성명] 특조위 진상조사 활동을 방해하고 핍박한 박근혜청와대 관계자들에게 면죄부를 준 사법부를 규탄한다. 👉 바로가기
사참위의 세월호특조위 조사방해 수사 요청에 대한 입장 👉 바로가기
[공동 논평] 검찰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특조위 강제해산과 조사방해 혐의를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엄중히 처벌하라! 👉 바로가기
[카드뉴스] 조직적 범죄 스릴러, 온 우주가 세월호참사 특조위 방해한 이야기! 👉 바로가기
[카드뉴스] 국가가 조사기구를 조직적으로 방해하다 - 특조위 조사방해편 👉 바로가기
[카드뉴스] 검찰 특수단에 고소고발한 세월호참사 범죄혐의자 명단 발표(4) 👉 바로가기
[공동 논평] 검찰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특조위 강제해산과 조사방해 혐의를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엄중히 처벌하라! 👉 바로가기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책임자 2차 명단 발표 👉 바로가기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책임자 명단 발표 👉 바로가기
[카드뉴스] 특조위를 지켜냅시다! 👉 바로가기
진행중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사건 판결
4.16세월호참사 판결 및 특수단 1차 수사결과 비평
_ 민변 서채완 변호사 작성
1. 사건 간략 개요
천만 명 시민의 염원으로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설립되었으나, 청와대 관계자들과 해양수산부 등 정부에 의해 조직적으로 방해가 이루어져, 특조위는 진상규명의 과제를 다 수행하지 못한 채 조기해산되었다. 특조위에 대한 조사방해 행위의 진상을 밝히고 그 책임을 묻고자 한 사건.
관련 사건은 두가지 재판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7년 12월, 문재인 정권의 해양수산부는 2015년 언론으로부터 제기된 '해수부 문건' 관련 정황에 대하여 자체감사를 진행했고, 특조위 조사방해가 조직적으로 이뤄진 정황을 발견했다며 이에 대해 검찰에게 수사의뢰했다. 2018년 4월 29일 수사를 종료하며 검찰은 특조위 설립 및 조사를 방해한 행위로 이병기(전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장),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 비서관), 김영석 (해수부장관), 윤학배 (해수부 차관) 총 5인을 기소한다.
그에 이어, 2019년 11월 2일 4.16연대 등은 국민고소고발인대회를 열었고, 관련 책임자 10명을 고소고발한다. 곧바로 19년 11월 11일 발족한 검찰 세월호 특수단이 관련 책임자 김영석 외 9인을 기소한다.
2. 피고인 별 직위 및 기소 죄목, 판결
3. 사건 진행 경과
5인 기소
서울고등법원 2023노1251
1. 윤학배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
2. 조윤선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 징역 6개월, 집행유예 1년
2019. 11. 11. 검찰 세월호 특수단 발족, 수사종결과 함께
9인 기소
검사상소 / 2023.02.14 상소법원으로 송부
4. 판결요지 및 비평
1) 특조위에 대한 조사방해 행위
특조위 설립 준비 방해행위
• 조사를 방해하기 위한 문건 작성
• 특조위 파견 공무원 일괄복귀
• 특조위 활동기간 법령심의 보류 및 철회 요청
특조위 동향 및 보고를 통한 방해행위
• 바이버 단체 채팅방 개설 후 동향보고
• 일일상황보고 등 문서 작성
특조위 ‘청와대 행적조사 안건 의결’ 방해행위
• 안건의결 방해를 위한 문서 작성 지시
• 안결의결 방해를 위한 정부 여당(새누리당)의 성명서 작성 지시 및 제공
2) 법원의 판단에 대한 비평
공모관계의 인정을 협소하게 판단
• 국가기관에 의한 범죄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함
부당한 지시에 따르는 행위를 묵인, 방조하는 논거가될 수 있음
• 공무원들의 행위를 보조행위 또는 사실행위에 불과하기 때문에 의무없는 일을 한 것이 아니라 판단하였음
직권남용죄의 권리행사방해의 의미를 부당히 축소
• 직권남용의 상대방과 권리행사 방해의 상대방이 같아야한다고 판단
• 즉 공무원에게 부당한 지시를 하여 시민의 권리를 침해한 경우 직권남용죄는 성립할 수 없다는 취지
5. 관련 컨텐츠
[판결비평]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사건 판결 👉 바로가기
[성명]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사건 대법원 판결에 대한 입장 - 세월호참사 피해자는 용납하지 않는다. 법원은 세월호 특조위 조사방해 피고인 모두를 처벌하라👉 바로가기
[성명] ‘세월호 특조위 조사 방해' 박근혜 정부 인사들에 면죄부 준 재판부를 규탄한다 👉 바로가기
[공동성명] 특조위 진상조사 활동을 방해하고 핍박한 박근혜청와대 관계자들에게 면죄부를 준 사법부를 규탄한다. 👉 바로가기
사참위의 세월호특조위 조사방해 수사 요청에 대한 입장 👉 바로가기
[공동 논평] 검찰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특조위 강제해산과 조사방해 혐의를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엄중히 처벌하라! 👉 바로가기
[카드뉴스] 조직적 범죄 스릴러, 온 우주가 세월호참사 특조위 방해한 이야기! 👉 바로가기
[카드뉴스] 국가가 조사기구를 조직적으로 방해하다 - 특조위 조사방해편 👉 바로가기
[카드뉴스] 검찰 특수단에 고소고발한 세월호참사 범죄혐의자 명단 발표(4) 👉 바로가기
[공동 논평] 검찰 특별수사단은 박근혜 정부의 세월호 특조위 강제해산과 조사방해 혐의를 적극적으로 수사하고 엄중히 처벌하라! 👉 바로가기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책임자 2차 명단 발표 👉 바로가기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방해 책임자 명단 발표 👉 바로가기
[카드뉴스] 특조위를 지켜냅시다! 👉 바로가기